Print Matter
Graphics


브레드 어반 테일러
Brad Evan Taylor
도록 디자인
Exhibition Catalog Design
달서아트센터
DSAC
2024, 190*257mm, 
148p, 노출사철제본
브레드 어반 테일러는 점토가 가마 안에서 수축과 팽창을 거쳐 고온에서 굳어지는 과정을 탐구하는 작가다. 도록은 이러한 물성의 대비를 시각적으로 드러내기 위해 앞뒤 표지에 거친 질감의 지류와 실크 인쇄를 사용해 이중성을 표현했다. 내지의 작가 노트는 점토가 세라믹으로 변해가는 과정을 반영해 매우 얇은 지류에 인쇄되었다. 작품은 두 공간에서 전시되었으며, 각 공간 이미지는 미세하게 다른 지류로 구분했다. 두 공간 사이에는 작품 목록을 배치했는데, 건초를 연상시키는 질감의 지류에 먹 1도를 반전 인쇄해 시각적 전환점이자 도록의 중심축으로 기능하게 했다.

Brad Evan Taylor is an artist who explores the process of clay shrinking and expanding in the kiln before hardening at high temperatures. The catalogue reflects this contrast in materiality: the front and back covers use coarse-textured paper combined with silk printing to highlight duality. The artist’s note is printed on very thin paper, echoing clay’s transformation into ceramic. The works were exhibited across two spaces, and each space’s images are distinguished with subtly different papers. Between these sections, the work list is placed at the center of the book, printed on paper reminiscent of hay—often used in the artist’s works—with inverted black ink, serving as a visual turning point and the structural axis of contrast within the catalogue.

[View..]




현장 속으로: 기억과 사건
Reconstructing Sequences
도록 디자인
Exhibition Catalog Design
국립아시아문화전당
ACC
2024, 225*300*19.5mm,
352p, PUR, 오타바인딩
도록의 판형은 전시와 작품의 스케일을 반영해 큰 판형으로 제작되었으며 종이는 시간의 흔적과 물성을 강조하는 매트한 질감과 바랜 느낌을 살려 선택되었다. 앞뒤 면지는 공사장의 가설 울타리로 둘러싸인 현재와 과거의 전남도청 및 국립아시아문화전당 풍경을 희미하게 형상화하였다. 이는 과거와 현재가 교차하는 시간적, 공간적 의미를 시각적으로 표현한다. 작품 전경 페이지는 웨이파인딩(wayfinding) 개념을 반영하여 작품 간의 연결성을 강조하여 배치하였고 작가의 작품 페이지 도입은 펼침면 사이에 색지를 삽입해 연결과 재구성을 은유적으로 표현하였다.

The catalogue was produced in a large format to reflect the scale of the exhibition and works, using matte paper with a faded texture to emphasize the traces of time and materiality. The front and back endpapers faintly depict the past and present landscapes of the former Jeonnam Provincial Office and the ACC, enclosed by a construction fence, visually expressing the temporal and spatial intersection of past and present. The pages showing installation views are arranged with a wayfinding concept to highlight the connections between works, while colored paper is inserted at the introduction of the artist’s work pages to metaphorically suggest connection and reconstruction.

[View..]




김자이
Jayi Kim
작가 작품집
Artist’s Catalogue
김자이
Jayi Kim
2024, 170*245mm, 100p
김자이 작가의 지난 10년 작업을 담은 작품집은 ‘자연과 휴식’을 주제로, 편안하게 전달되는 ‘휴식’의 의미에 초점을 두었다. 표지는 참여형 프로젝트 ‘휴식 교환 프로젝트’에서 영감을 받아 실제 씨앗을 활용해 구성했으며, 내지는 ‘휴식’에서 출발해 생태적 사유로 확장되는 과정을 은유적으로 드러냈다. 종이의 질감과 색상을 달리해 시간의 흐름과 변화를 시각화하고, 친환경 용지를 사용했다. 작품 이미지와 작가 노트는 독립적이면서도 유기적으로 얽혀, 독자가 자연스럽게 흐름을 따라가며 각자의 리듬으로 감상할 수 있다.

This monograph, capturing Jay Kim past ten years of work, centers on the theme of “nature and rest,” with an emphasis on conveying the idea of rest in a gentle and unburdened way. The cover, inspired by the participatory project Rest Exchange Project, incorporates actual seeds, while the interior metaphorically reflects the artist’s process of expanding from “rest” toward ecological thinking. Variations in paper texture and color visualize the passage of time and transformation, with an effort made to use eco-friendly materials. The work images and the artist’s notes follow independent yet organically intertwined flows, allowing readers to naturally follow the rhythm and experience the book in their own pace.

[View..]




틈이 내게 말을 걸어올 때
Listening for the Voice of “TEUM”
도록 디자인
Exhibition Catalog Design
국립아시아문화전당
ACC
2023, 150*225mm, 228p, PUR
전시 도록은 ‘틈’의 상징성을 시각적으로 드러내기 위해 얇은 화이트 크라프트지(50g)로 겉싸개를 제작하였다. 표지의 글자는 은근한 질감 속에 스며들 듯 숨겨져, ‘틈’을 엿보는 듯한 인상을 준다. 작가 노트 역시 동일한 지류와 별색 인쇄를 적용해 짧게 스쳐 지나가는 틈새를 연상시켰다. 각 작가의 작품 부분은 직물과 건축용 특수 판지의 감각을 구현하기 위해 서로 다른 레자크지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지류의 선택은 전시 참여 행위가 지면의 감촉으로 확장되는 간접적 체험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의도를 담고 있다.

The exhibition catalog was designed to visually express the symbolism of the “gap” by wrapping it in thin white kraft paper(50g). The cover typography is subtly embedded within the texture, evoking the impression of peeking into a gap. The artist notes also employ the same paper and spot-color printing, recalling the fleeting passage of a narrow opening. For each artist’s section, different varieties of textured Lesseig paper were used to evoke the tactile qualities of fabric and architectural board. Through this selection of papers, the catalog is intended to transform the act of engaging with the exhibition into an indirect, tactile experience on the printed page.

[View..]



2025 다티스트
장용근의 폴더: 가장자리의 기록
DArtist 2025
JANG Yonggeun, Peripheral Vision
전시 디자인
Exhibition Design
대구미술관
Daegu Art Museum
2025.7.15-10.12
작가의 시선이 닿는 가장자리를 글자의 자유로운 움직임으로 표현하였다. 이 시선은 때로 확장되기도, 때로 축소되기도 하며, 그 유동성과 다층적 의미를 드러낸다.
   
The edges of the artist’s gaze are rendered through the fluid movement of letters. Shifting between expansion and contraction, this gaze embodies both fluidity and layered meaning.

[View..]



Lili Lee
Where Words Fade
전시 디자인
Exhibition Design
리버 아트 갤러리(대만)
River Art Gallery(Taiwan)
2025.5.11-7.5
작가의 작업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점(원형)은 과정을 시각화하는 핵심적인 조형 언어다. 작가는 대화 속에서 느껴지는 리듬, 억양, 선율을 단어 하나하나에 부여하듯, 점들을 배열해 나간다. 이는 언어의 구조를 해체하고 감정의 리듬을 시각적으로 재구성하는 방식으로, 감정의 파동이 형상화된 하나의 조율된 리듬으로 기능한다. ― 작가 설명글 중
 
In the artist’s work, the recurring motif of the dot (the circle) is a key formal language that visualizes process. The artist arranges dots as if assigning rhythm, intonation, and melody to each word in a conversation. This deconstructs the structure of language and visually reconstructs the rhythm of emotion, functioning as a harmonized rhythm in which emotional waves are given form. — from the artist’s statement

[View..]



우리의 몸에는 타인이 깃든다
Crossing the Line: Our Bodies, 
Embedded with Others
전시 디자인
Exhibition Design
국립아시아문화전당
ACC
2025.4.17-6.29
2025년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하 ACC)은 개관 10주년을 맞이하여 접근성 강화 주제전 《우리의 몸에는 타인이 깃든다》를 개최했다. 본 전시는 장애인의 문화예술 창작 및 향유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자 기획된 배리어 프리(Barrier-free) 전시로, ‘배리어 프리’라는 개념을 단순한 보조 도구나 장치로 보는 접근을 넘어 하나의 융복합 콘텐츠 장르로 확장하려는 의도를 담고 있다. (중략) 본 전시는 단지 장애인을 위한 접근성 개선을 넘어, 모든 인간이 관계적 존재로서 서로를 환대하고 감각의 경계를 허무는 공동 감각의 장을 형성하려는 예술적 실험이자 제안이라 할 수 있다. ― 도록 『우리의 몸에는 타인이 깃든다』(2025), 「기획의 글」 박예원(국립아시아문화전당 학예연구사) 글 발췌.

In 2025, National Asia Culture Center (ACC) celebrated its 10th anniversary with the thematic exhibition Crossing the Line: Our Bodies, Embedded with Others, dedicated to enhancing accessibility. This barrier-free exhibition was designed to improve access to cultural and artistic creation and enjoymen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hile also seeking to expand the concept of “barrier-free” beyond assistive tools or devices into a broader, interdisciplinary content genre. (…) More than an initiative to improve accessibilit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is exhibition can be seen as an artistic experiment and proposal to create a shared sensory space that welcomes others and dissolves the boundaries of perception, reminding us that all human beings are relational in nature. — Excerpt from Crossing the Line: Our Bodies, Embedded with Others (2025), “Curatorial Statement,” by Park Ye-won, Curator, National Asian Culture Center

[View..]




현장 속으로: 기억과 사건
Reconstructing Sequences
전시 디자인
Exhibition Design
국립아시아문화전당
ACC
2024.10.15-11.24
《현장 속으로: 기억과 사건》은 국립아시아문화전당(ACC)이 위치한 광주의 장소성과 역사적 맥락을 주제로 한 야외 전시다. 광주읍성에서 전남도청을 거쳐 현재 ACC에 이르기까지의 변화를 ‘장소에 축적된 기억과 사건’이라는 맥락으로 재해석했다. 전시 포스터에도 ‘현장’, ‘기억’, ‘사건’의 모티브를 상징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전남도청의 공사 부산물을 주된 그래픽 요소로 활용했다. 전남도청 철거 과정에서 수집한 콘크리트 조각을 촬영 및 재가공해 포스터 전면에 배치하고, 그 밑에 공사장 가설 울타리로 둘러싸인 현재의 풍경을 희미하게 형상화했다. 실크스크린 방식으로 겹겹이 인쇄한 포스터는 장소에 축적된 기억과 사건을 간접적으로 드러낸다.

Reconstructing Sequences is an outdoor exhibition that focuses on the locality and historical context of Gwangju, where the National Asian Culture Center(ACC) is situated. It reinterprets the transformations from Gwangju Eupseong Fortress, through the Jeonnam Provincial Office, to today’s ACC under the theme of “memories and events accumulated in a place.” The exhibition poster symbolically expresses the motifs of “site,” “memory,” and “event” by using construction debris from the Jeonnam Provincial Office as its main graphic element. Concrete fragments collected during the demolition process were photographed, reprocessed, and placed prominently on the poster, beneath which a faint depiction of the current landscape—enclosed by temporary construction fences—can be seen. Printed in overlapping layers using the silkscreen technique, the poster indirectly reveals the memories and events accumulated within the site.

[View..]




2024 월드 오케스트라 페스티벌
World Orchestra Festival 2024
공연 홍보물 디자인
Concert Promotion Design
대구콘서트하우스
Daegu Concert House
2024
W를 도형화하여 여러 시리즈의 홍보물에 적용할 수 있도록 했다. 많은 정보를 직관적으로 보여주는 데 중점을 두어, 색은 최소한으로 사용하고 위계는 세세히 설정했다.

The letter W was stylized into a geometric form and applied across promotional materials for multiple series. The focus was on conveying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intuitively, using minimal color and establishing a finely detailed hierarchy.

[View..]




틈이 내게 말을 걸어올 때
Listening for the Voice of “TEUM”
전시 디자인
Exhibition Design
국립아시아문화전당
ACC
2023.09-12.31
예술극장과 전시관을 연결하는 사이 공간으로서 오픈홀의 가능성과 틈의 다양한 기능과 의미를 조망하고자 한다. 이에 ACC는 2023년 2월, 광주와 전라남북도를 기반으로 작품 활동을 하고 있는 작가들을 대상으로 ‘오픈홀'이라는 장소와 ‘틈'을 주제로 작가 공모를 진행하였으며 이은정, 유지원 작가를 최종 선정하였다.

The ACC carried out an open call under the theme of “teum” in February 2023, through which artists Eunjune Lee and Jiwon Yu were selected to be featured in the exhibition.

[View..]